10주 이후
태아DNA선별검사
(Non-Invasive Prenatl testing, NIPT)
산모의 혈액 내의 소량의 태아DNA를 분석하여 다운, 에드워드, 파타우 증후군과 같은 주요 염색체의 수적 이상의 위험도를 알아봅니다.
11~13주
모체혈청선별검사 1차
(Integrated Screening Test, IST)
태아의 염색체 이상(특히 다운증후군)과 신경관 결손 등을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는 선별검사입니다. 새로 도입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태아의 목덜미 투명대 두께와 두번의 산모혈액에서 얻은 단백질 농도를 모두 합하여 염색체 이상과 신경과 결손의 위험도 계산
- 임신초기초음파(NT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 목덜미 투명대 두께(NT:Nuchal Transluceny) 측정
- 혈액채취(1,2차)
- 위험도 계산
- 최종검사
융모막검사
고령의 산모이거나 기형아 검사 이상 등 염색체 진단이 필요한 경우 시행합니다.
초음파검사
태아의 성장 발육 정도, 태아의 크기, 위치 및 태반의 위치, 모양을 진단합니다.
16~20주
양수검사, 모체혈청선별검사 2차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이거나 기형아 검사 및 초음파 소견이 정상이 아닌 경우 염색체 이상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신경관 결손 검사
무뇌증, 척추 이분증 등 결손 이상 검사입니다.
20~24주
태아 정밀 초음파 및 심장초음파
태아의 기형 발견을 위해 가장 용이한 검사로, 태아의 심장 기형을 포함한 구조적 이상을 조기에 평가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24~28주
임신성 당뇨검사
당뇨병의 임산부는 신생아도 기형, 당뇨 및 사망률이 높아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혈액검사, 간기능 검사
임산부의 간기능, 빈혈 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26~28주
4D 초음파(입체초음파)
태아의 손가락, 발가락 및 얼굴모양 등 외형 기형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사진 및 비디오 촬영을 해 드립니다.)
32주 이후
태아안전검사(비수축검사, NST)
태아와 산모의 기능적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 태아의 심음과 자궁수축 측정하는 검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