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과 담낭 용종의 치료

휴가를 쓰기 어려운 직장인을 위한
원스톱 담낭절제술을 시행합니다.

문의 : 031-782-8300

휴가를 쓰기 어려운
직장인을 위한
원스톱 담낭절제술을
시행합니다.

문의 : 031-782-8300
어떻게 치료 하나요?

증상이 없는 담석, 암의 가능성이 낮은 담낭용종은 치료 없이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약물치료로 담석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담석증, 급성ㆍ만성 담낭염, 담석이 큰 경우 (3cm이상), 용종과 동반된 담석, 담낭 선근종, 암일 가능성이 있는 담낭용종 등 에서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은 어떻게 하나요?

담석은 신장결석, 요로결석과 같이 몸 밖에서 초음파로 부수는 방법이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담석 수술 하면 담석만 제거하는 것을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방법은 안전하지 않고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현대의학에서는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수술은 담낭을 제거하는 담낭절제술이 되며, 수술을 받게 되면 더 이상 담낭(쓸개)이 없게 됩니다.
(우스갯 소리로 “쓸개 없는 사람”이 되는 겁니다.)
수술의 방법으로는 3~4개의 구멍을 뚫고 진행하는 최소침습수술과 오른쪽 위배를 열어서 진행하는 개복수술이 있습니다.
(수술 내용은 담낭을 간에서 제거하는 것으로 동일합니다.) 최소 침습수술은 크게 복강경수술과 로봇장비를 이용한 로봇수술로 나눌 수 있으며, 로봇수술의 경우 배꼽에 구멍을 하나만 뚫어서 수술을 진행하는 단일공 로봇수술이 가능하며, 수술 중 로봇의 특수 카메라에 보이는 염색 사용으로(Indocyanine green) 담도를 쉽게 확인하여 안전한 수술을 도와 줄 수 있습니다.
최소침습 수술이 개복수술에 비해서 상처크기가 작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흉터가 거의 남지 않기 때문에 널리 시행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배 안의 상황에 따라서 개복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은 안전한가요?

수술이 실패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염증이 심할 경우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고 배를 여는 개복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 시간은 보통 1시간 내외로 걸립니다. (수술 전 후 마취에 필요한 시간이 각각 30분 정도 걸립니다.)
일반적인 경우 수술에 따른 전반적인 합병증의 위험은 5% 내외입니다. 모든 수술이 그렇듯이 통증, 발열, 폐에 염증, 가지고 있던 질병의 악화, 수술 및 상처 부위의 출혈 및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주위의 손상 및 출혈, 담도의 손상의 위험성은 0.3% 미만으로 매우 낮으나, 발생 시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는 합병증입니다. 수술 관련 사망위험성은 0.1% 미만입니다.

수술의 경과는 어떻게 되나요?
일반적인 수술 경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퇴원 여부는 수술 소견 및 수술 후 환자 분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분 수술 전 수술 날 수술 1일 수술 2일 이후
경과 입원 수술 배액관 제거
(경우에 따라)
식이 자정부터 금식 금식 또는 저녁 물
활동 제한없음 제한없음 걷기 퇴원
수술 이후의 회복은 어떤가요?

수술 후 퇴원을 하시게 되면 일상생활에는 거의 지장이 없습니다. 다만 수술 직 후 소화불량, 설사, 식사 후 불편감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담낭이 없어지면서 생기는 현상인데, 1~2달 정도 지나면 간에 있는 담관이 늘어나고 생리적인 적응이 일어나 대부분 좋아집니다.

수술 후 식사는?
담낭이 없어진 상황에 몸이 적응하기 까지 약 1달 정도는 아래의 식습관을 지키시면 좋습니다. 어려운 것은 아니고, 많이 들어 보셨던 상식적인 내용입니다.
  1. 1 천천히 식사하기
    평소 보다는 천천히, 꼭꼭 씹으며 식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2 과식하지 않기
    평소 드시던 분량의 70% 정도의 양만 드시고, 부족하시면 소량씩 나누어 드시면 소화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3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매운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은 수술 후 설사나 복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음주도 수술 후 최소 1달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후 한달 간
피해야 할 음식

고지방음식
소나 돼지의 기름, 간, 곱창 등의 내장류, 오징어, 달걀노른자, 코코넛유, 팜유(라면기름, 프림), 튀김, 치킨, 갈비, 삼겹살, 닭 껍질, 땅콩, 잣, 호두, 아이스크림, 케이크, 쿠키, 도넛, 파이, 초콜렛, 버터, 마가린, 마요네즈 등

가공 및 훈제식품
피자, 햄버거, 소시지, 햄, 불에 탄 육류 등

염장식품
나트륨은 우리 몸의 수분 평형 조절을 위해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젓갈, 장아찌, 양념이 과하게 사용된 김치 등을 통해 나트륨을 너무 많이 섭취하게 되면 설사나 복부 팽만감 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